동남아 바닷가에 놀러 가면 흔히 볼 수 있는데 나뭇가지 등에 엉성하게 걸려있는 전기줄들을 많이 볼 수 있는데요…
비가 와도 그냥 노출되어 있습니다. 와 저거 엄청 위험한데… 생각했는데 막상 큰 사고가 안나는게 신기하기만 합니다.
(분명 큰 사고의 잠재력은 굉장히 높습니다.)
왜 쉽게(?) 사고가 나지 않는 걸까요…
막상 물은 전자가 흐르지 못하게 하는 저항력을 가지고 있어요.
(아래의 실험 영상 참고~ )
고압일 경우를 제외하고 물을 통해 쇼트가 발생할 확률은 생각보다 크지 않아요..
하지만 매우 미세하게 전류가 흐르긴 합니다.
우리가 물이 위험하다고 하는 것은 물 자체라기 보다 물로 인한 단자나 전선의 부식 때문일 겁니다.
세일보트나 캠핑카는 배터리 사용 구조가 매우 비슷합니다.(아니 똑같아요~)
특히 배는 물기가 많고 주변이 빨리 부식되는게 문제겠죠.
만약 부식이 심각하게 이루어져서 전류가 충분히 흐르지 못할 정도로 전선의 굵기가 허용전류보다 줄어들면?
전선이 타면서 전선이 그냥 끊어져버리면 다행인데 불이 다른곳으로 번지고 이것도 태우고 저것도 태우고~
배터리의 사용은 아마 캠핑을 몇 일동안 나가서 전기를 얼마나 쓰느냐에 따라 배터리 용량과 구성이 천차만별 일거예요
시동배터리로만(보통 납산배터리)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하우스뱅크로는 리튬인산철을 추가해서 사용하기도 하던데 인산철은 정말 세일보트에는 매우매우 적합한 배터리 같습니다.
(하지만 비싸요. 가격이 내려가고 있긴합니다. 참고로 다 중국산 입니다.
가격의 차이는 BMS나 껍데기의 질에 따라 많이 차이가 나더라구요. 브랜드값도 크고…
싸게 한다면 직접 배터리만 구해서 보호회로니 BMS 구축하시면 싸게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BMS 역할도 못하는 것들이 판을 칩니다.)
리튬이온이나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사용한다고 했을때
엔진 알터로 배터리 충전량을 올리겠다고 알터 업그레이드 하시는 분도 계시는데
하지만 배터리 용량이 알터 용량보다 클 경우에는 알터가 터질 가능성이 큽니다.
알터는 뇌가 없는 기계라고 보시면 됩니다…
리튬 배터리는 납산배터리처럼 완만하게 볼트값이 올라가지 않습니다.
그래서 알터는 자기 능력보다 높은 암페어를 계속 흘려보내고 “이래도 안올라가!?” 하면서 또 보내고 또 보내다가
연기나기 시작하는 거죠. 그래서 시동배터리(납산)를 통해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DC to DC charger를 사용해서 충전합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정말 위험합니다. 뭐 안전하게 설계하고 안전하게 패킹했다하더라도 부식에 취약한 보트에서는
사용하기에 부담스럽지 않나 생각합니다.
(아래 영상참고~ 18650 리튬 배터리로 인해 보트 하나 홀라당 불태워 먹은 사람 인터뷰입니다.)
요즘 18650으로 DIY 하시는분들 많으신데 정말 주의해야 합니다.
얼마나 순식간에 불이 일어날 수 있는지 깨닫게 해주네요. 화재경보기 또한 필수입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스키퍼 포럼을 만들었습니다.
easysailing
|
2023.02.23
|
추천 0
|
조회 33
|
easysailing | 2023.02.23 | 0 | 33 |
공지사항 |
스키퍼 매뉴얼 본문 관련 내용 비공개 전환 (2)
easysailing
|
2023.01.13
|
추천 1
|
조회 54
|
easysailing | 2023.01.13 | 1 | 54 |
공지사항 |
어리버리 항해일기 영문판
easysailing
|
2022.12.30
|
추천 0
|
조회 53
|
easysailing | 2022.12.30 | 0 | 53 |
8 |
쌍선, 프로펠러 워크, 스키퍼 공지사항, 요트 카테고리 A, B, C, D (2)
easysailing
|
2022.02.12
|
추천 1
|
조회 266
|
easysailing | 2022.02.12 | 1 | 266 |
7 |
5. 마스트와 스탠딩 리깅 단원의 낯선(?) 용어들 리스트업 (1)
easysailing
|
2022.01.30
|
추천 1
|
조회 338
|
easysailing | 2022.01.30 | 1 | 338 |
![]()
easysailing
|
2022.02.13
|
추천 0
|
조회 391
|
easysailing | 2022.02.13 | 0 | 391 | |
6 |
요트 번개 맞으면? (3)
지니아빠
|
2022.01.21
|
추천 0
|
조회 1876
|
지니아빠 | 2022.01.21 | 0 | 1876 |
5 |
물 아껴 사용하기
지니아빠
|
2022.01.16
|
추천 0
|
조회 333
|
지니아빠 | 2022.01.16 | 0 | 333 |
![]()
easysailing
|
2022.01.18
|
추천 1
|
조회 372
|
easysailing | 2022.01.18 | 1 | 372 | |
4 |
전기 (3)
모모
|
2022.01.10
|
추천 0
|
조회 273
|
모모 | 2022.01.10 | 0 | 273 |
3 |
조타 시스템의 쿼드런트(quadrant)란? (4)
easysailing
|
2022.01.08
|
추천 1
|
조회 486
|
easysailing | 2022.01.08 | 1 | 486 |
2 |
소풍가기 전날 처럼 기대 됩니다. (3)
지니아빠
|
2022.01.08
|
추천 0
|
조회 280
|
지니아빠 | 2022.01.08 | 0 | 280 |
1 |
일등 (1)
모모
|
2022.01.05
|
추천 0
|
조회 289
|
모모 | 2022.01.05 | 0 | 289 |
© 2023 easysailing.kr All Rights Reserved.
엄청난 분이 게시판에 계셨군요..^^
한 마디 보태자면, 요트 전기 시스템의 어려운 점이 아마 '바닷물' 때문이 아닐까 싶어요. 증류수엔 전기가 통하지 않지만 전해질(소금과 기타 미네랄)이 녹아있는 바닷물은 합선과 누전을 일으키거든요. 그래서 누전이 있는 배의 금속 덱 피팅에서 찌릿찌릿한 전기가 느껴지는 경우도 있어요.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스틸도 배에서 쓰려면 소금에도 견딜 수 있는 마린 그레이드가 필요하구요.(그렇다고 부식이 안 되는 것도 아닌..)
바다가 참 인조물에게는 극한 환경이라 배에서 견디는 놈들은 다른 환경에선 다 천하무적일 거 같아요 ㅎㅎ
인산철배터리가 괜찮은가 보네요....좋은글 읽었습니다
화재경보기도 사야하는구낭..